이더리움 프로그래밍/블록체인 2023. 8. 31. [블록체인] 블록체인 작동 원리 및 구조 블록체인 작동 순서 A가 B에게 송금 해당 거래 정보가 담긴 block 생성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에게 block 전송 모든 참여자가 해당 거래의 타당성 확인 승인된 block을 기존의 chain 에 연결 (거래 기록 수정 불가) A에서 B에게 송금 완료 블록체인 작동 원리 다수의 온라인 거래 기록을 묶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 해쉬값을 이용하여 이전 블록과 체인처럼 연결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P2P 방식으로 전 세계 여러 컴퓨터에 복사하여 분산 저장 및 관리 노드 네트워크에서 연결 포인트 혹은 데이터 전송의 종점 개개인의 서버(참여자)를 노드라 칭함 블록 구조 👉 Header 버전 (version) 소프트웨어 / 프로토콜 버전 이전 블록의 해시값 (previous block hash) 바로 앞.. 프로그래밍/블록체인 2023. 8. 28. [Ethereum] 이더리움 용어 및 스마트 컨트랙트 NFT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 블록체인을 학습하며 배운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이더리움과 관련된 용어와 스마트 컨트랙트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했다. 용어 client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 RPC 요청 수신 및 결과 반환 Endpoint provider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제공된 Javascript 객체 walle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계정 개인키 관리 개인키로 sign 하여 트랜잭션 전송 faucet 테스트넷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치없는 통화를 무료로 제공 Gas Fee 수수료 개념 보내는 사람이 조정 가능, 조정하지 않는다면 높은 금액으로 설정 높을수록 빨리 전달됨 (거래 빠르게 성사)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아닐수도 있음 RP.. 이전 1 다음